요즘 대부분의 20대 이상분들이라면 자동차 운전을 자주하게 됩니다. 또한 한번쯤은 과태료 우편이 뜬금없이 날라온 적도 종종 있으실 것 같습니다.
과태료를 제대로 납부하지 못하거나 가산금이 붙게 된다면 본인 차량에 압류가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과태료를 깜빡하고 납부하지 못했거나 정보 조회가 늦어져서 또는 우편물을 못 받아서 등의 이유로 차량에 손해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수시로 아래 사이트에서 과태료 범칙금 조회,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주차 단속을 알려주는 서비스는 주정차 단속 지역에서 차량 감지시 운전자에게 사전 알림을 보내서 이동하라고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1. 자동차 과태료 종류
자동차 과태료는 다양한 유형으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과태료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속도 위반 과태료: 제한 속도를 초과한 경우 부과, 60Km/h 초과시 13만원
- 주정차 위반 과태료: 주정차 금지 지역에서 일반도로는 4만원이고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12만원까지 부과/
- 신호 위반 과태료: 신호를 위반한 경우 6만원 과태료 부과
- 통행료 미납 과태료: 하이패스 또는 유료 도로 이용 후 미납된 경우
과태료 종류에 따라 조회 및 납부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자동차 과태료 조회 방법
자동차 과태료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휘슬" 을 통해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정부24에서 조회하는 방법
- 정부24 사이트에 접속
- '교통 범칙금 및 과태료 조회' 검색
- 공인인증서(또는 간편 인증) 로그인 후 조회 가능
2) 경찰청 이파인(eFINE) 이용 방법
- 이파인 홈페이지 접속
- '교통범칙금 및 과태료 조회' 메뉴 선택
- 차량번호 및 본인 인증 후 조회 가능
3)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이용
각 지방자치단체(서울시, 부산시 등) 홈페이지에서도 과태료 조회가 가능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위택스(Wetax) 또는 이택스(Etax)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4) 모바일 앱 활용
- '정부24', '이파인(eFINE)' 등의 앱을 다운로드 후 회원 가입 후, 로그인하여 조회 가능
- 일부 금융 앱 사이트에서도 교통 범칙금 조회가 되는 경우가 있음.
3. 과태료 납부 방법
조회 후 미납 과태료가 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납부: 이파인 또는 정부24에서 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 가능
- 은행 방문 납부: 고지서를 지참하고 은행에서 직접 납부
- 자동이체 설정: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과태료(예: 주정차 위반)를 자동 납부 설정 가능
4. 과태료 조회 시 주의사항
- 스미싱 문자 주의: 경찰청, 정부 기관을 사칭한 가짜 과태료 납부 문자를 조심하세요.
- 연체 시 불이익: 미납 시 가산금이 부과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차량 압류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조회 습관: 정기적으로 조회하여 과태료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 결론
자동차 운전을 하다보면 속도위반을 깜빡하고 할 때도 있고 주정차 위반도 종종 있습니다만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소 이전이 되었거나 우편물을 못받을 수도 있고 핸드폰 검색을 자주 하지 못하다보면 과태료나 범칙금이 발생했을 때에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잘못하면 소소한 금액의 체불로 인해서 차량에 압류가 들어오는 경우도 있으니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불이익이 없기를 바라겠습니다.!